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6

네트워크-2계층 MAC주소 / Ethernet프로토콜(2022.09.10) 1.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같은 LAN 대역)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다른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일을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와 같은 역할도 수행한다.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항상 3계층의 도움이 필요하며 2계층에서는 이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 3계층은 다음 게시물에서 알아볼 예정이다. - 2계층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frame)이라고도 부른다. 2. MAC주소 MAC주소란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이며 물리적인 주소를 의미한다. 각 장비들의 LAN카드에 고유적으로 할당된 번호로, 인간에 비유하자면 주민등록번호과 같이 고유한 번호라고 볼 수 있다. MAC주소는 총 48비트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2. 9. 13.
JAVA-Object Class (2022.09.06) 1. Object Object 클래스는 java.lang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이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이다. 모든 클래스의 조상이자 시조이다. Object 클래스는 필드를 가지지 않으며 11개의 메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Java에서 상속은 필수적이다. 내가 상속을 하지 않더라도 자바는 나도 모르게 Object 클래스를 자동으로 상속한다. 즉, Java의 모든 클래스는 Object를 암묵적으로 상속받아 모든 클래스가 공통으로 포함해야할 기능을 갖춘다. 아래부터는 Object가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메소드들에 대해 알아보자. 2. toString Object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 중 객체를 문자로 표현하는 메소드. toString() 메소드는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문자열로 반환한다. 보통 obj.. 2022. 9. 6.
네트워크 - 네트워크 모델(OSI 7계층, TCP/IP모델)(2022.09.06) 1. TCP/IP계층 1960년대 말 미국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로 공개한 모델. 현재 OSI 7계층보다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모음. 총 4개의 계층으로 구성 : 1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계층 네트워크, 3계층 전송, 4계층 응용 2. OSI 7계층 1984년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 것. 이름과 같이 7계층으로 구분하며 각 계층별 프로토콜은 아래 그림과 같다. 3. OSI 7계층 4. OSI 7계층과 TCP/IP 의 비교 1) 공통점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다. - 계층간 역할을 정의하였다. 2) 차이점 - 계층의 수 차이 - OSI.. 2022. 9. 6.
네트워크 - 네트워크란 ? (2022.09.04) 1. 네트워크? 인터넷? 1)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란 어떤 대상들이 무언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조금 더 사전적인 의미로 정의하자면,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정의하고 나니 노드라는 말이 다소 생소하다. 여기서 노드란 ?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뜻한다. 즉 각각의 컴퓨터, 휴대폰 등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장비들은 각각 노드이며 이 노드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네트워크라고 하는 것이다. 2) 인터넷이란? 네트워크는 앞서 1-1)에서 설명한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 이라면 인터넷은 이러한 네트워크 중 세상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인터넷이란 문서, 그림, 영상 등 다.. 2022. 9. 5.
JAVA - 예외 ( 2022.09.02~2022.09.03) 본 게시글은 유튜브 인강을 통해 하루 동안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복습한 내용입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보충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 인강은 생활코딩의 Java 입문수업(생활코딩) 을 참고하였습니다. 자바 수업을 리뉴얼 했습니다 - YouTube 1. 예외란? 프로그램 작동시 각종 이유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해결하는 것을 예외처리라고 하며, 오류없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예외처리는 꼭 필요한 기능이다. 2. 예외 발생 예시 1) 0으로 나누는 경우 : ArithmeticException 2) 배열에서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의 값을 호출하는 경우 :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3) 읽어야 할 파일이 존재하지.. 2022. 9. 3.
Java - 인터페이스(Interface) & 다형성(2022.08.29) 본 게시글은 유튜브 인강을 통해 하루 동안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복습한 내용입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보충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 인강은 생활코딩의 Java 입문수업(생활코딩) 을 참고하였습니다. 자바 수업을 리뉴얼 했습니다 - YouTube 1. 인터페이스(Interface) 1) 개념 Java에서 인터페이스(Interface)란 대표적인 규제 중 하나이다. 어떤 객체가 특정 인터페이스를 사용(implements) 한다면 그 객체는 반드시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들을 구현해야 한다. 즉, 인터페이스는 다른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본이 되는 틀(설계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다형성을 구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라는 인터페이스를 객체1과.. 2022. 8. 30.